대학생활

CAMPUS
  • 대학생활
  • 대학소식

대학소식

[논문게재_조남신 교수] 내용과 형식의 일치에 관한 논의: 루돌프 보렌(Rudolf Bohren)의 이름신학적 설교학의 관점에서
2021.10.05

내용과 형식의 일치에 관한 논의: 루돌프 보렌(Rudolf Bohren)의 이름신학적 설교학의 관점에서The Discussion on the Correspondence of Content and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Rudolf Bohren’s Name-theological Homiletics

 

2021, vol.105, pp. 85-123 (39 pages)

연구분야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기타기독교신학

 

조남신 /Nam Shin Cho

예명대학원대학교

 

● 초록 

내용과 형식의 관계는 서양철학 전반에 걸쳐 가장 어렵지만 가장 핵심적인 주제들 가운데 하나였다. 그것들은 또한 18세기 이래 예술이나 문학의 영역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 쌍 중의 하나였다. 내용과 형식의 일치 문제는 또한 신학뿐만 아니라 언어 관련 학문에서도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다. 그것의 대립 현상은 1968년 이후 경험론적 전환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변화가 설교학 분야에선 ‘새 설교학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이제 ‘새 설교학 운동 이후의 시대’를 맞이하면서 교회의 위기와 설교의 위기 속에서 내용과 형식의 결합, 내지 일치 모색 등의 문제가 다시 제기될 수밖에 없다. 본 논고는 그리스도교 설교학의 숙원과제라고 할 수 있는 이 문제를, 루돌프 보렌의 설교학과 요즈음 새롭게 부상되는 이름 신학에 관한 연구들을 토대로 개척자적으로 새롭게 논구해보고자 한다. 그러할 때, 필자가 모색하고자 하는 것은 내용과 형식의 일치를 추구해가며 믿음·소망·사랑의 언어론을 구사해가는 ‘이름 신학적·성령론적·미학적 설교학’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름 신학을 통한 대안들을 연속적으로 모색해나감으로써 그리스도교 신학의 재건과 교회갱신의 길을 열어가고자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form was one of the most difficult but the most central topics throughout Western philosophy. They have also been one of the very important pairs of concepts in the fields of art and literature since the 18th century. The issue of the unity of content and form has also become an important issue not only in theology but also in language-related studies. Its confrontation can be said to have been reinforced   by a paradigm shift called the empirical change after 1968. Such a change took place in the field of preaching as ‘the new homiletics’ movement. Now, as we enter ‘the era after the new homiletics movement’, issues such as the search for the unity of content and form in the crisis of church and preaching are bound to be raised again.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is proble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longing task of Christian homiletics, in a pioneering way based on Rudolf Bohren's homiletics and the emerging name theology. In such a case, what I want to seek will be a 'name-theological, pneumatological, and aesthetic homiletics', which pursues the unity of content and form, and uses the linguistics of faith, hope, and love. Therefore, I intend to open the way for the reconstruc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renewal of the church   by continuously seeking alternatives through name theology.

 

● 원문링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신학논단 2021, vol.105, pp. 85-123)

https://ysugst.yonsei.ac.kr/ysugst/forum/read.do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